[산업 정책 공약]
1. 제조업 혁신성장 및 경쟁력 강화 특별법(가칭) 제정
주요 정책:
-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및 산업지능화 추진
- 스마트 제조혁신 역량 강화
자세한 내용:
2. 시스템반도체·미래차·바이오(BIG3) 신산업 육성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3. 신기술·신산업 규제 개선 및 민간투자 촉진
주요 정책:
- 신산업 규제혁신 로드맵 마련
- 민간투자 유도를 위한 세제 지원 강화
자세한 내용:
4.소재·부품·장비산업 경쟁력 강화
주요 정책:
- 소재·부품·장비산업의 핵심기술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
자세한 내용:
5. 중견기업 성장 촉진
주요 정책:
-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육성 및 지원 확대
자세한 내용:
6. 스마트공장 확대 및 고도화로 제조현장 경쟁력 제고
주요 정책:
- 중소제조업체에 스마트공장 보급을 확대하여 제조현장의 경쟁력을 강화
자세한 내용:
7. 중소기업 R&D 확대를 통한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
주요 정책:
- 중소기업의 연구개발(R&D) 지원을 확대하여 기술 혁신을 촉진
자세한 내용:
8. 유니콘으로 성장 가능한 유망 스타트업 육성
주요 정책:
-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지원
자세한 내용:
9.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
주요 정책:
-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생태계 조성
자세한 내용:
10. 한류와 연계한 브랜드 K 제품 확대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11.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맞춤형 수출 지원
주요 정책:
-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육성
자세한 내용:
12. 창업벤처 혁신제품 초기 판로확보를 위한 인프라 구축
주요 정책:
- 창업벤처의 초기 판로 확보를 위한 전담조직 설립
자세한 내용:
13. SW 중심 스타트업 및 중소·벤처기업 지원 강화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14. 인공지능(AI) 스타트업에 대한 국내·외 민간 투자 환경 조성
주요 정책:
- AI 스타트업의 성장을 위한 투자 인프라 구축
자세한 내용:
15. 인공지능 기술 중심 고성능컴퓨팅(High Performance Computing) 환경 지원
주요 정책:
- AI 스타트업과 중소·벤처기업에 고성능 컴퓨팅 환경 제공
자세한 내용:
16. 스마트미디어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 콘텐츠 활성화 지원
주요 정책:
- 다양한 콘텐츠 제작과 유통을 통해 글로벌 미디어 경쟁력 강화
자세한 내용:
17. 성장잠재력이 높은 5대 유망식품 분야(맞춤형·특수식품, 기능성식품, 간편식품, 친환경식품, 수출식품) 집중 육성
주요 정책:
- 농식품산업 혁신성장생태계 조성 및 신성장동력 창출
자세한 내용:
18. 수산식품 수출단지 확대 조성
주요 정책:
- 수산물 가공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수출단지 확대
자세한 내용:
19.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신산업 창출
주요 정책:
- 산업단지를 스마트·친환경·융복합 혁신 테스트베드로 조성
- 입주가능 업종을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하여 입주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
- 제조업·IT 및 문화산업 진흥을 위한 융·복합 시설 유치 지원
자세한 내용:
※ 스마트산단은 산업단지 내 기업 간 데이터 연결·공유로 동일 업종·밸류체인 기업들이 스스로 연계·스마트화되는 산단
※ ’20년 4개소 → ’22년 10개소 → ’24년 16개소(누적기준)
※ 산업단지환경개선펀드 : (’20년) 3,300억원 → (’24년) 5,000억원
※ (’20년) 200억원 → (’24년) 500억원
20. 경제자유구역 2.0 추진으로 글로벌 신산업 거점 육성
주요 정책:
- 경제자유구역을 첨단 신산업 중심 거점으로 도약
자세한 내용:
※ (입지) 첨단기술 투자 기업에 원가 이하 분양 및 수의계약 근거 마련
※ (현금지원) 국비 매칭비율: 수도권 30→50%, 비수도권 60→80%
21. 제조업 및 지역특화산업 영위 중소기업 육성
주요 정책:
-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 추진
자세한 내용:
22. 해안도로 이용·활용 방안
주요 정책:
- 해안도로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
자세한 내용:
23.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24. 사회적경제 3법 제정 추진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25. 대기배출사업장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26. 대기배출사업장 관리 강화
주요 정책:
- 대기오염 사업장의 관리 체계를 강화하여 미세먼지 발생 저감
자세한 내용:
27. 탄소제로 사회를 위한 그린뉴딜 기본법 제정
주요 정책:
-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탄소제로 사회로 전환
자세한 내용:
28. 석탄발전 감축 및 재생에너지 확대
주요 정책:
-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석탄발전소 감축 및 친환경 에너지 전환
자세한 내용:
29. 저탄소 경제 구축
주요 정책:
- 저탄소 순환경제 기반을 마련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 도모
자세한 내용:
30. 미래차 등 저탄소 산업 육성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31. 그린뉴딜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 강화
주요 정책:
- 그린뉴딜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방안 마련
자세한 내용:
32. 미세먼지 농도 감축
주요 정책:
-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위해 종합 관리 체계 구축
자세한 내용:
33. 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3020 계획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34. IoT 기반 에너지 수요관리 비즈니스 창출
주요 정책:
-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에너지 수요를 관리
자세한 내용:
35. 수소경제 활성화
주요 정책:
자세한 내용:
- 모빌리티와 에너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 활성화: